맨위로가기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은 1920년대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내전을 배경으로, 한 형제의 갈등을 통해 아일랜드의 복잡한 역사를 그린 영화이다. 켄 로치 감독 작품으로, 1916년 부활절 봉기 이후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의 투쟁과 영국과의 휴전, 그리고 아일랜드 자유국의 수립 과정에서 겪는 이념 대립과 갈등을 그린다. 킬리언 머피, 패드릭 델라니, 리암 커닝햄 등이 출연하며, 제59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독립 전쟁 영화 - 밀고자 (1935년 영화)
    1935년 제작된 미국 드라마 영화 《밀고자》는 리암 오플라허티의 소설을 원작으로 존 포드 감독이 연출했으며, 아일랜드 공화국군 대원을 밀고한 남자의 비극을 그린 작품으로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수상하며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다.
  • 아일랜드 독립 전쟁 영화 - 마이클 콜린스 (영화)
    1996년 닐 조던 감독의 영화 《마이클 콜린스》는 리암 니슨이 주연을 맡아 아일랜드 독립 전쟁 시기 아일랜드 공화국군 지도자였던 마이클 콜린스의 삶과 혁명가로서의 면모, 그리고 비극적인 최후를 그린 작품으로,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논란에도 불구하고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 아일랜드어 영화 작품 - 맥킨토시의 사나이
    폴 뉴먼이 주연한 "맥킨토시의 사나이"는 전직 정보부 요원 출신 좀도둑이 탈옥 제안을 받고 국제적인 스파이 전쟁에 휘말리는 1973년 영국 첩보 영화로, 잉글랜드, 아일랜드, 몰타에서 촬영되었으며 존 휴스턴이 연출했다.
  • 아일랜드어 영화 작품 - 말 없는 사나이
    1952년 존 포드 감독의 영화 《말 없는 사나이》는 아일랜드로 돌아온 은퇴 권투 선수 션 손턴(존 웨인)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로, 존 웨인과 모린 오하라가 주연을 맡아 아카데미 감독상과 촬영상을 수상하고 아름다운 풍경과 유쾌한 스토리로 사랑받았다.
  • 켄 로치 감독 영화 - 랜드 앤 프리덤
    1995년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랜드 앤 프리덤》은 1936년 스페인 내전에 참여한 영국인 데이비드 카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현실과 좌익 내부의 갈등, 공동체 정신과 연대의 중요성을 다룬다.
  • 켄 로치 감독 영화 - 자유로운 세계
    켄 로치 감독의 2007년 영화 《자유로운 세계》는 싱글맘 앤지가 불법 이민자 관련 직업 소개소를 운영하며 겪는 윤리적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키어스턴 웨어링이 주연을 맡아 BAFTA 텔레비전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원제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감독켄 로치
제작자레베카 오브라이언
각본가폴 라버티
주연킬리언 머피
리암 커닝햄
파드레이크 딜레이니
올라 피츠제럴드
음악조지 펜턴
촬영 감독배리 애크로이드
편집자조너선 모리스
제작사Sixteen Films
Matador Pictures
배급사엘리먼트 픽처스 (아일랜드)
파테 디스트리뷰션 (영국)
BIM Distribuzione (이탈리아)
Neue Visionen Filmverleih (독일)
Diaphana Films (프랑스)
Alta Films (스페인)
시네카논 (일본)
개봉일2006년 5월 18일 (칸 영화제)
2006년 6월 23일 (영국 & 아일랜드)
2006년 11월 18일 (일본)
상영 시간126분
제작 국가아일랜드
영국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스페인
스위스
언어영어
아일랜드어
라틴어
제작비650만 유로 (830만 달러)
흥행 수익2570만 달러
관련 정보
영화제칸 영화제

2. 역사적 배경

영화의 배경은 1920년대 아일랜드로, 아일랜드 독립 전쟁아일랜드 내전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다룬다.
아일랜드 독립 전쟁 (1919-1921)1916년 부활절 봉기 이후, 1918년 총선에서 신페인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며 아일랜드 의회를 설립,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영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탄압을 강화했다. 이에 맞서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이 결성되어 무장 투쟁을 시작하고, 여성 조직 쿠만 나 므반은 IRA를 지원했다. 1920년 아일랜드 남부에서 게릴라 투쟁이 격화되고, 영국은 휴전 협정을 맺고 자치를 허용했다.
영일 협정과 아일랜드 내전 (1922-1923)영국아일랜드 간에 정전 협정이 체결되지만, 그 내용은 북아일랜드를 영국령으로 남겨두고, 아일랜드는 대영제국의 자치령인 아일랜드 자유국으로 남으며, 아일랜드 자유국 의원들은 영국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조약 찬성론자들은 '완전 독립을 위한 일시적 발판'이라는 논리로 이들과 맞섰다. 이 과정에서 테디는 조약 찬성론측이 되어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교가 되고, 데이미언은 이를 거부하여 새로이 만들어진 조약 반대파 IRA에 몸담게 된다. 결국 조약 반대파는 아일랜드 내전을 일으킨다.

2. 1. 아일랜드 독립 전쟁 (1919-1921)

1920년 아일랜드 코크 지방에서, 젊은 의사 데이미언은 런던으로 가기 전, 형 테디와 함께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활동에 참여한다. 영국군의 횡포에 분노한 데이미언은 IRA에 투신, 영국군과 맞서 싸운다. 이들은 영국군에 의해 체포되고 테디는 혹독한 고문을 당하지만, 아일랜드계 영국군 병사의 도움으로 탈출한다. 그러나 배신자 크리스와 그의 주인 해밀턴 경은 IRA에 의해 처형되고, 데이미언은 큰 슬픔을 겪는다.[1]

계속된 항쟁으로 아일랜드에는 자치 정권이 수립되지만, 고리대금업자 재판을 두고 테디와 원칙파가 대립한다. 상공업자들의 협력을 중시하는 테디와 원칙을 고수하는 이들 사이의 갈등은 형제간의 대립으로 이어진다.[1]

1916년 부활절 봉기 이후, 1918년 총선에서 신페인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며 아일랜드 의회를 설립, 독립을 선언한다. 그러나 영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탄압을 강화한다. 이에 맞서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이 결성되어 무장 투쟁을 시작하고, 여성 조직 쿠만 나 므반은 IRA를 지원한다.

1920년 아일랜드 남부에서 게릴라 투쟁이 격화되고, 영국은 휴전 협정을 맺고 자치를 허용한다. 그러나 북아일랜드 제외 문제로 IRA는 분열되고, 아일랜드 자유국이 탄생한다.

2. 2. 영일 협정과 아일랜드 내전 (1922-1923)

영국아일랜드 간에 정전 협정이 체결되지만, 그 내용은 얼스터 6주를 영국령으로 남겨두고, 아일랜드는 대영제국의 자치령인 아일랜드 자유국으로 남으며, 아일랜드 자유국 의원들은 영국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한다는 등 원칙파의 입장에서는 납득하기 힘든 것이었다. 이에 대해 조약 찬성론자들은 '완전 독립을 위한 일시적 발판'이라는 논리로 이들과 맞섰다. 이 과정에서 테디는 조약 찬성론측이 되어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교가 되고, 데이미언은 이를 거부하여 새로이 만들어진 조약 반대파 IRA에 몸담게 된다.

결국 조약 반대파 동지들에게 포 코트(Four Courts) 항쟁 소식이 들려오고, 격노한 이들은 로리 오코너의 지휘 아래 공화국 군인을 습격해서 무기를 뺏어가고 그들을 살상하며 전쟁으로 치닫는다. 결국 조약 찬성파와 반대파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게 되고,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군과 조약 반대파 IRA의 이 싸움이 바로 아일랜드 내전이다.

3. 주요 등장인물

배역배우역할
데미언 오도노반킬리언 머피의대생 출신으로 IRA에 투신.
테디 오도노반패드레익 들러니데미언의 형이자 IRA 지역 부대 지휘관.
리암 커닝햄사회주의 노조 간부.
Sinéad Ní Shúilleabháin|시네이드 니 설리반gaOrla Fitzgerald|올라 피츠제럴드영어데미언의 연인.
미셸 오 설리반로렌스 배리데미언, 테디 형제와 헐링 경기를 하다 영국군에게 사망.
버나뎃메리 머피
페기메리 오리어던
로리마일스 호건
콩고마틴 루시
존 해밀턴 경로저 알람영국계 아일랜드인 지주.
크리스 라일리존 크린해밀턴 경의 하인.
핀바데미언 카니
레오프랭크 버크
케빈셰인 케이시
마틴 데 코간
조니 고건윌리엄 루안아일랜드계 영국군 병사.
릴리피오나 로튼
데니스 신부숀 맥긴리
케빈 오브라이언



이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영화의 이야기를 풍성하게 채워나간다.

3. 1. 데미언 오도노반 (킬리언 머피)

킬리언 머피가 연기한 데미언 오도노반은 의대생 출신으로, 런던으로 가서 병원을 개업하려 했으나, 아일랜드의 전통 경기인 헐링 경기 후 영국군에게 친구 미하일 오 설리반이 살해당하는 것을 목격한다.[1] 이후 영국군의 무임승차를 거부하던 기관사가 폭행당하는 모습을 보고 IRA에 투신한다.[1]

IRA 활동 중, 영국계 아일랜드인 지주 해밀턴 경의 하인 크리스 레일리가 IRA 단원이라는 정보를 누설하여 테디와 데미언을 비롯한 IRA 단원들이 체포된다.[1] 이들은 총살당할 위기에 처하지만, 아일랜드계 영국군 병사 고건의 도움으로 탈옥한다.[1] 이후 데미언은 배신한 크리스와 해밀턴 경을 자신의 손으로 처형한다.[1]

영일 협정 이후, 데미언은 조약 반대파에 가담하여 형 테디와 대립하게 된다.[1] 그는 "만약 그렇다면 영국 정부와 다를 게 뭐냐?!"며 형과 대립한다.[1] 조약 반대파 활동 중 자유국 정부군에 사로잡히고, 테디는 동생을 설득하여 전향하고 동료들의 위치를 밀고하라고 권유하지만, 데미언은 "내가 크리스 레일리의 심장을 쐈어. 왜 그랬는지 형도 알잖아?!"라는 말로 거부한다.[1] 결국 테디는 동생을 처형하고 이를 동생의 연인 시네이드에게 알린다.[1]

킬리언 머피는 데미언 역을 통해 이상주의적 신념과 동지애, 그리고 내적 갈등을 겪는 인물의 변화 과정을 설득력 있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3. 2. 테디 오도노반 (패드레익 들러니)

패드레익 들러니가 연기한 테디 오도노반은 주인공 데미언의 형이자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지역 부대 지휘관이었다. 앵글로-아일랜드 조약 이전에는 IRA 지휘자로서 영국군에 맞서 싸웠으며, 체포되어 손톱이 뽑히는 고문을 당하면서도 동료를 배신하지 않았다.[15]

조약 이후, 테디는 현실적인 판단으로 조약 찬성론자가 되어 아일랜드 자유국군 장교가 된다. 그는 조약을 '완전 독립을 위한 일시적 발판'으로 보았다.[15] 그러나 이는 원칙을 중시하는 동생 데미언과 갈등을 빚게 된다.

아일랜드 내전에서 테디는 자유국군 장교로서 조약 반대파 IRA 진압 임무를 맡는다. 과거 자신들을 숨겨준 민간인 집을 폭압적으로 수색하는 등, 과거 영국군과 다름없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15]

결국 테디는 조약 반대파 활동을 하던 동생 데미언을 체포, 전향과 동료 위치를 밀고하라고 설득한다. 하지만 데미언은 "내가 크리스 레일리의 심장을 쐈어. 왜 그랬는지 형도 알잖아?!"라며 거절한다.[15] 결국 테디는 동생을 처형하는 비극적 선택을 한다.[15]

패드레익 들러니는 테디의 복잡한 내면과 변화를 설득력 있게 연기하여 깊은 인상을 남겼다.

3. 3. 시네이드 니 설리반 (올라 피츠제럴드)

Sinéad Ní Shúilleabháin|시네이드 니 설리반ga (Orla Fitzgerald|올라 피츠제럴드영어 분)은 데미언의 연인이자 독립 운동의 동지이다. 원작에서는 시네이드가 속한 여성 민병대 조직인 Cumann na mBan|쿠만 나 므반ga이 언급된다.[35]

그녀는 강인하고 헌신적인 여성으로, 독립운동 과정에서 영국군에게 농가를 약탈당하고 불태워지며 머리가 거칠게 잘리고 두피가 부상을 입는 등 고초를 겪는다.[35] 데미언은 그녀를 치료하며, 영국과 IRA 간의 공식적인 휴전 소식을 전해 듣는다.[35]

아일랜드 내전이 발발하고 데미언이 체포된 후, 테디는 데미언에게 전향과 동료들의 위치를 밀고하라고 권유하지만, 데미언은 이를 거부한다. 결국 데미언은 처형되고, 테디는 데미언의 편지를 시네이드에게 전달한다. 시네이드는 비통함과 슬픔에 잠겨 테디를 공격하고 자신의 땅을 떠나라고 명령한다.[35]

올라 피츠제럴드는 이 역할을 통해 제4회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 어워드에서 최우수 조연 여자배우상 후보와 신인상 후보에 올랐다.[35]

3. 4. 댄 (리암 커닝햄)

리암 커닝햄이 연기한 댄은 데미언과 같은 감옥에 수감된 노조 간부로, 데미언에게 사회주의적 이상을 심어준 인물이다. 댄의 사상과 신념은 데미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댄은 데미언에게 "무엇에 반대하는지 아는 것은 쉽지만,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라고 말하며, 데미언이 자신의 신념을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

3. 5. 기타 등장인물


  • 크리스 라일리: 해밀턴 경의 하인으로, 영국계 아일랜드인 지주인 해밀턴 경의 협박을 받아 IRA의 거점을 밀고한다. 오랜 친구였던 데이미언의 손에 처형당한다.
  • 존 해밀턴 경: 영국계 아일랜드인 지주로, 자신의 하인인 크리스 라일리를 협박하여 IRA의 정보를 캐내고, 결국 크리스와 함께 IRA에게 처형당한다.
  • 미셸 오 설리반: 데이미언, 테디 형제와 함께 헐링 경기를 하던 중, 영국군에게 자신의 이름을 게일어로 대답했다는 이유로 폭행당해 사망한다. 이 사건은 데이미언이 IRA에 가담하는 계기가 된다.
  • 조니 고건: 아일랜드계 영국군 병사로, 테디와 데이미언을 비롯한 IRA 단원들이 총살당할 위기에 처했을 때 이들의 탈옥을 돕는다.

4. 영화의 주요 장면과 상징

1920년아일랜드, 코크 지역을 배경으로, 데이미언과 테디 오도노반 형제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아일랜드 내전의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영화는 주요 사건들을 통해 이념 대립과 폭력의 악순환, 그리고 그 속에서 파괴되는 인간성을 보여준다.

의대생 데이미언은 런던으로 떠나려다 영국군의 폭력을 목격하고 형 테디가 이끄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에 합류한다. 이들은 영국군에 맞서 싸우지만, 친구이자 동료였던 크리스 라일리의 배신으로 체포되고 고문을 당한다. 탈출 후, 데이미언은 배신한 크리스를 직접 처형해야 하는 비극을 겪는다.

영국-아일랜드 조약 체결 이후, IRA는 조약 찬반으로 분열된다. 테디는 조약 찬성파가 되어 아일랜드 자유국 군 장교가 되고, 데이미언은 조약 반대파에 남아 형제는 결국 서로에게 총을 겨누게 된다.

아일랜드 내전은 과거 동지였던 이들이 서로를 죽이는 비극으로 이어진다. 데이미언은 자유국 군에 체포되고, 테디는 동생에게 전향을 권유하지만, 데이미언은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는다. 결국 테디는 자신의 손으로 동생을 처형해야 하는 운명에 처한다.

4. 1. 헐링 경기와 영국군의 폭력

1920년 아일랜드의 젊은 의사 데이미언은 런던으로 가서 병원을 개업하려고 한다. 그의 형 테디는 IRA의 한 지역구 지휘자를 맡고 있다. 데이미언은 영국으로 가기 전 친구들과 아일랜드의 전통 경기인 헐링을 즐긴다. 경기 후 영국군이 '공중 집회를 금한다'라는 법을 어겼다는 이유로 이들을 급습하고, 이 과정에서 이름을 말하라는 영국군의 지시에 영어가 아닌 게일어로 대답하던 미하일 오 설리반이 영국군에게 폭행당해 목숨을 잃는다. 데이미언은 이 일을 겪고도 IRA에 들어오라는 형의 권유를 거절하고 영국행 기차에 오른다. 중화기로 무장하고 압도적인 수를 가진 영국군에게 IRA 투쟁은 계란으로 바위 치기라는 것이 데이미언의 주장이었다. 그랬던 데이미언이었으나, 기차역에서 영국군의 무임승차를 거부하던 기관사가 영국군에게 폭행당하는 모습을 보고는 마음을 바꾸어 IRA에 투신한다.

4. 2. 크리스 라일리의 배신과 처형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대원이었던 크리스 라일리는 영국군의 협박에 못 이겨 IRA의 거점을 밀고한다. 이로 인해 테디와 데이미언을 비롯한 IRA 단원들이 체포되고, 테디는 혹독한 고문을 받는다. 비록 강압에 의한 것이었지만, 배신은 용납될 수 없다는 결론에 따라 크리스는 IRA에 잡혀온다. 데이미언과 크리스는 친형제와도 같은 사이였지만, 데이미언은 자신의 손으로 크리스의 심장을 쏜다.[15] 이후 그는 연인 시네이드에게 슬픔을 토로하며, "이렇게 우리를 바쳐 싸우는 아일랜드가 그럴 가치가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한다.

후에 데이미언은 조약 반대파 활동을 하다가 자유국 정부군에 사로잡힌다. 테디는 동생을 설득하여 전향하고 동료들의 위치를 밀고하라고 권유하지만, 데이미언은 "내가 크리스 라일리의 심장을 쐈어. 왜 그랬는지 형도 알잖아?!"라는 말로 거부한다. 결국 테디는 자신의 손으로 동생 데이미언을 처형하게 된다.[15]

이처럼 가까운 이를 직접 처형해야 하는 비극적인 상황은 전쟁, 특히 동족상잔의 비극이 가져오는 인간성 상실의 아픔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는 한국 전쟁과 분단의 경험을 가진 한국 사회에도 깊은 울림을 주는 장면이다.

4. 3. 조약 찬반 논쟁과 형제의 갈등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영어영국아일랜드 간의 영국-아일랜드 조약 체결 이후, 조약에 대한 찬반 논쟁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과정에서 형인 테디는 조약 찬성파가 되어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교가 되고, 동생 데미언은 조약 반대파 IRA에 남아 갈등이 심화된다.[19]

이러한 조약 찬반 논쟁은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조약 찬성론자들은 완전 독립을 위한 일시적인 발판으로 조약을 옹호했지만, 조약 반대파는 북아일랜드영국령으로 남는 등 여러 불리한 조건 때문에 조약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19] 이는 혁명 세력 내부의 분열과 대립으로 이어진다.

특히 테디와 데미언 형제의 갈등은 이념 대립이 개인의 삶과 관계를 파괴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형제는 이념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고, 결국 테디는 자신의 손으로 동생 데미언을 처형해야 하는 비극적인 상황에 놓이게 된다.[19] 데미언은 "내가 크리스 레일리의 심장을 쐈어. 왜 그랬는지 형도 알잖아?!"라며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고, 이는 형제간의 갈등을 더욱 고조시켰다.[19]

4. 4. 데미언의 처형

결국 데이미언은 조약 반대파와 함께 지하 활동을 하게 되고, 자유국 정부의 무기를 훔쳐내다가 자유국 정부군에 사로잡힌다. 테디는 동생을 설득하여 전향하고 동료들의 위치를 밀고하라고 권유하지만, 데이미언은 "내가 크리스 레일리의 심장을 쐈어. 왜 그랬는지 형도 알잖아?!"라는 말로 이를 거부한다.[15] 테디는 결국 자신이 직접 동생을 처형하고 이를 동생의 연인인 시네이드에게 알리게 된다.

동생을 처형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테디는 데이미언에게 반(反) 조약 IRA가 훔친 소총을 숨긴 장소를 알려달라고 간청한다. 그 대가로 테디는 데이미언에게 완전 사면, 시네이드와의 삶, 친(親)조약파와 반(反)조약파 아일랜드인들이 나란히 가족을 양육할 수 있는 아일랜드의 비전을 제시한다. 데이미언은 모욕을 받으며 크리스 레일리처럼 공화국을 "팔아넘기지" 않겠다고 말하고, 테디는 눈물을 흘리며 감옥을 떠난다. 데이미언은 시네이드에게 작별 편지를 쓰고 그녀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며 댄의 말을 인용한다. "무엇에 반대하는지 아는 것은 쉽지만,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무엇을 지지하는지 알고 있으며 그것을 위해 죽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시네이드에게 테디를 돌보라고 말한다. 새벽에 데이미언은 슬프지만 고집스러운 테디가 지휘하는 사격 분대 앞에서 죽는다. 테디는 데이미언의 편지를 시네이드에게 전하고, 시네이드는 비통함과 슬픔에 잠긴다. 그녀는 테디를 공격하고 그녀의 땅을 떠나라고 명령한다.

5. 영화에 대한 평가 및 해석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은 아일랜드 독립 전쟁아일랜드 내전이라는 역사적 격변기를 배경으로, 형제간의 갈등과 이념 대립, 그리고 폭력의 악순환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분단된 조국의 현실을 깊이 있게 다룬 영화이다.

이 영화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에 투신한 형 테디와 동생 데미안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앵글로-아일랜드 조약을 둘러싼 갈등은 형제를 서로 다른 길로 이끌고,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영화는 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등장인물들의 내면적 갈등과 선택을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데미안이 영국군의 만행을 목격하고 IRA에 합류하는 장면, 친구이자 동료였던 크리스 라일리를 처형하는 장면, 그리고 자신의 신념을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장면 등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영화 속에서 데미안과 댄은 사회주의적 이상을 추구하며, 산업과 농업의 집산화를 주장한다. 댄은 "강자의 억양과 깃발의 색깔"만 바뀔 뿐이라며 기득권 세력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이는 단순한 독립을 넘어 진정한 사회 변혁을 꿈꾸는 이들의 열망을 보여준다.

영화 프로듀서 레베카 오브라이언은 이 영화가 "미시적 규모의 내전을 다루고 있다"라고 설명하며,[15] 단순한 전기 영화가 아니라 그 시대의 주제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켄 로치 감독은 토론토의 ''아이 위클리''와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가 아일랜드 혁명이 민족주의 혁명이었는지 아니면 사회 혁명이었는지를 탐구하려는 시도라고 언급했다.[15] 그는 식민지가 독립을 원할 때 제기되는 두 가지 질문, 즉 "어떻게 제국주의자들을 몰아낼 것인가"와 "어떤 종류의 사회를 건설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하며,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과 혁명가들 사이의 갈등을 지적했다.

마크 커모드는 이 영화가 닐 조던의 ''마이클 콜린스''와 대조적으로, 이상주의적 사회주의자의 시각으로 아일랜드 자유국의 창설을 바라본다고 언급했다.[16] ''히스토리 아일랜드''는 켄 로치가 제1 대의회의 민주적 강령이 혁명의 사회적 사고를 형성했다는 견해에 따라 이끌렸다고 보도했다.[17]

렐리아 둘란은 이 영화를 "사과하지 않는 사회주의"라고 묘사하며, 영화 속 한 장면에서 사제가 반 조약 태도의 좌파적 완고함에 반대하며 "다음에는 열두 사도를 국유화하려 하시겠지!"라고 외치는 장면을 언급했다.[18]

이러한 주제들은 영화가 한국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특히 분단 극복과 평화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1. 영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영어)은 2006년 개봉 당시 영국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흥행에도 크게 성공했다.[40]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는 2007년도 영화 베스트 7위에 이 영화를 선정하는 등 국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41] 프랑스에서는 제59회 칸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42]

5. 2. 영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영어는 2006년 개봉 당시 영국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높은 평가를 받았고 흥행에도 성공했다.[40]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는 2007년 최고의 영화 7위 중 하나로 선정했고,[41] 칸 영화제에서는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42]

그러나 영국 내 보수 진영에서는 영화가 영국군을 지나치게 잔혹하게 묘사하고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의 폭력을 정당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42] 이들은 영화 속에서 영국군 병사들의 잔혹함은 강조되는 반면, IRA 측의 암살이나 파괴 행위는 낭만적으로 그려진다고 주장했다.

5. 3. 영화의 주제와 메시지

이 영화는 이념 대립, 폭력의 악순환, 분단된 조국의 현실, 그리고 인간 존엄성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15] 영화 프로듀서 레베카 오브라이언은 "이 영화는 미시적 규모의 내전을 다루고 있다"라고 설명하며, 단순한 전기 영화가 아니라 그 시대의 주제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밝혔다.[15]

켄 로치 감독은 토론토의 ''아이 위클리''와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가 아일랜드 혁명이 민족주의 혁명이었는지 아니면 사회 혁명이었는지를 탐구하려는 시도라고 언급했다. 그는 식민지가 독립을 원할 때 제기되는 두 가지 질문, 즉 "어떻게 제국주의자들을 몰아낼 것인가"와 "어떤 종류의 사회를 건설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하며,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과 혁명가들 사이의 갈등을 지적했다.[15]

마크 커모드는 이 영화가 닐 조던의 ''마이클 콜린스''와 대조적으로, 이상주의적 사회주의자의 시각으로 아일랜드 자유국의 창설을 바라본다고 언급했다.[16] ''히스토리 아일랜드''는 켄 로치가 제1 대의회의 민주적 강령이 혁명의 사회적 사고를 형성했다는 견해에 따라 이끌렸다고 보도했다.[17]

렐리아 둘란은 이 영화를 "사과하지 않는 사회주의"라고 묘사하며, 영화 속 한 장면에서 사제가 반 조약 태도의 좌파적 완고함에 반대하며 "다음에는 열두 사도를 국유화하려 하시겠지!"라고 외치는 장면을 언급했다.[18]

이러한 주제들은 영화가 한국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특히 분단 극복과 평화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영화와 관련된 추가 정보

이 영화는 켄 로치 감독이 제작하고, 주로 아일랜드 배우들이 출연했다. 아일랜드,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등 여러 나라의 회사들이 참여한 국제 공동 제작 작품이다.

영화 제목은 19세기 작가 로버트 드와이어 조이스의 노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서 따왔다. 이 노래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이라는 구절은 모티프가 되어 아일랜드 공화주의 노래와 시에 영향을 주었다. 켄 로치 감독은 어니 오말리의 회고록에서 데미안 캐릭터의 영감을 얻었다.[8] 코크 대학교의 도널 오 드리스콜 박사가 영화의 역사 고문을 맡았다.

반돈, 토거, 매크룸 등 지역 스카우트 아일랜드 단체에서 많은 엑스트라를 모집했다.[11]

영화 사운드트랙에는 민족주의 지도자 파드라이그 피어스가 공화주의 주제에 맞춰 가사를 바꾼 17세기 아일랜드 자코바이트 노래 "오로 세 도 베아타 아바일레"가 수록되어 있다.[12]

6. 1. 제작 과정

이 영화는 영국 감독 켄 로치가 제작했으며, 주로 아일랜드 배우들이 출연한다. 아일랜드,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회사들이 참여한 국제 공동 제작 작품이다.[8]

켄 로치 감독은 아일랜드 혁명이 민족주의 혁명이었는지, 아니면 사회 혁명이었는지를 탐구하려 했다. 그는 토론토의 ''아이 위클리''(2007년 3월 15일)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식민지가 독립을 원할 때마다 의제에 오르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어떻게 제국주의자들을 몰아낼 것인가, b) 어떤 종류의 사회를 건설할 것인가? 보통 '깃발만 바꾸고 모든 것을 그대로 유지하자'라고 말하는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이 있습니다. 그런 다음 '재산법을 바꾸자'라고 말하는 혁명가들이 있습니다. 항상 중요한 순간입니다.

영화의 프로듀서이자 오랜 로치 협력자인 레베카 오브라이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15]

> 이 영화는 미시적 규모의 내전을 다루고 있습니다... ''마이클 콜린스''와 같은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런 전기적 정확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주제를 표현하려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후기 분쟁의 핵심이며, 영화를 만드는 것이 매우 매력적인 이유입니다.

영화 제목은 19세기 작가 로버트 드와이어 조이스의 동명의 노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서 유래했다. 이 노래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이라는 구절을 모티프로 만들어 아일랜드 공화주의 노래와 시에 영향을 미쳤다. 로치는 데미안 캐릭터의 영감을 공화주의 지도자 어니 오말리의 회고록에서 얻었다.[8] 코크 대학교의 역사학자 도널 오 드리스콜 박사가 영화의 역사 고문을 맡았다.

6. 2. 사운드트랙

다음은 영화에 사용된 주요 음악들이다.

  •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 로버트 드와이어 조이스 작사
  • "아므란 나 바피안" - 피더 케어니 및 패트릭 히니 작사
  • "오! 세 도 베하 '발레" - 파드릭 피어스 작사
  • "The Doon Reel" - 연주자 편곡[12]

6. 3. 촬영 장소

이 영화는 2005년 아일랜드 코크 주에서 촬영되었다.[9] 발리보르니, 티몰리그, 반돈 등지에서 촬영이 진행되었으며, 반돈에서는 노스 메인 스트리트를 따라 법원 건물 옆에서 한 장면이 촬영되었다.[9] 매복 장면은 발리보르니 주변 산에서, 농가 장면은 쿨리아에서 촬영되었다. 데미안의 처형 장면은 킬메인햄 감옥에서 촬영되었는데, 이곳은 많은 아일랜드 독립운동 지도자들이 투옥되고 처형된 역사적인 장소이다.[10] 엑스트라 중 다수는 반돈, 토거, 매크룸 등 지역 스카우트 아일랜드 단체에서 모집되었다.[11]

6. 3. 1. 한국어 더빙 성우진(KBS)

성우배역원 배우
김승준데이미언킬리언 머피
이호인테디패드레익 들러니
장광리암 커닝햄
이윤선콩고마틴 루시
정현경시네드올라 피츠제랄드
서문석네드 / 스위니 / 신부쉐인 노트 / 키어란 아른 / 데니스 콘웨이
이연희페기 / 릴리메리 오리어던 / 피오나 로턴
조진숙베르나데트메리 머피
이장원핀바 / 해밀턴 경 / 영국 군인다미엔 커니 / 로저 알람 / 톰 차녹
안용욱그리스 / 네오존 크린 / 프랭크 버크
이규석스테디 보이 / 영국 군인아이던 오하레 / 마크 웨이켈링
위훈로리마일스 호갠
유호한팀 / 신부케빈 오브라이언 / 숀 맥긴리
최창석테렌스 / 영국 군인키스 던피 / 윌리엄 루앤


6. 3. 2. 수상 정보

영화제초청 부문
10회 광주국제영화제(2010)Justice & Action
메가박스 유럽영화제(2009)10th MEFF Anniversary
7회 메가박스 유럽영화제(2006)마스터 초이스


참조

[1] 문서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2] 웹사이트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www.bbfc.co.u[...]
[3] 웹사이트 Film –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2006) https://web.archive.[...] Element Pictures
[4] 웹사이트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2007)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018-03-25
[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www.festival-[...] 2009-12-13
[6] 웹사이트 News from the UK Film Council https://web.archive.[...] 2007-04-23
[7] 뉴스 Loach Film Sets New Money Mark http://www.rte.ie/ne[...] RTÉ.ie 2006-08-08
[8] 뉴스 The agitator http://www.boston.co[...] The Boston Globe 2007-03-18
[9] 웹사이트 Filming Locations https://www.imdb.com[...] IMDb 2008-11-23
[10] 웹사이트 Kilmainham Gaol https://web.archive.[...] goireland.com
[11] 웹사이트 Gallery :: Film Extras https://web.archive.[...] 2006-09-11
[12] 서적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Galley Head Press 2006
[13] 웹사이트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s://web.archive.[...] 2006-06-10
[14] 웹사이트 Party for Socialism and Liberation (PSL):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examines Ireland's national and class struggle https://web.archive.[...] 2009-02-19
[15] 웹사이트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set visit https://web.archive.[...] Time Out 2005-07-18
[16] 뉴스 Another cry for freedom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2-25
[17] 웹사이트 Film Eye: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s://www.historyi[...] 2024-02-25
[18] 웹사이트 Media Library {{!}} Speeches {{!}} President of Ireland https://president.ie[...] Office of the President of Ireland 2024-02-25
[19] 뉴스 Loach film breaks Irish box-office records 2006-08-08
[20] 웹사이트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 Rotten Tomatoes http://www.rottentom[...] Rotten Tomatoes 2022-09-23
[21] 웹사이트 Wind That Shakes the Barley, The (2007): Reviews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008-01-05
[22] 뉴스 Powerful – but never preachy https://web.archive.[...] The Daily Telegraph 2006-06-23
[23] 뉴스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entertainment[...] The Times 2006-06-22
[24] 뉴스 Troubles and Strife http://www.dailyreco[...] The Daily Record 2006-06-23
[25] 웹사이트 Metacritic: 2007 Film Critic Top Ten Lists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008-01-05
[26] 웹사이트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rogerebert.su[...] rogerebert.com 2007-04-01
[27] 웹사이트 Film Eye: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Reviews/Issue 5 (Sep/Oct 2006)/Volume 14 https://web.archive.[...] Historyireland.com 2013-02-19
[28] 뉴스 Sectarian Wind Up – a defence of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www.indymedia[...] 2006-06-26
[29] 웹사이트 Cillian Murphy's top-rated roles ranked in new study https://www.irishcen[...] 2024-02-20
[30] 웹사이트 Winners & Nominations - The Awards 2006 https://www.bifa.fil[...]
[31] 웹사이트 Retrospective - 2006 - Awards https://www.festival[...]
[32] 웹사이트 EFA Night 2006 - Nominations https://europeanfilm[...]
[33] 웹사이트 EFA Night 2006 - Winners https://europeanfilm[...]
[34] 웹사이트 Good news at Goyas https://variety.com/[...] 2006-12-18
[35] 웹사이트 Winners of the 4th Annual Irish Film & Television Awards https://www.ifta.ie/[...]
[36] 웹사이트 Wind That Shakes The Barley up for three awards https://www.irishexa[...] 2006-12-20
[37] 웹사이트 Nominations 2007 http://pnf.pl/nomina[...] 2024-02-21
[38] 웹사이트 2006 Awards https://www.pressaca[...] 2024-02-21
[39] 뉴스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https://www.theguard[...] 2006-06-23
[40] 웹사이트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2006) https://www.bfi.org.[...] 2019-12-30
[41] 웹사이트 Metacritic: 2006 Film Critic Top Ten Lists https://web.archive.[...] 2008-01-02
[42] 웹사이트 Why does Ken Loach loathe his country so much? https://www.dailymai[...] 2019-12-30
[43] 웹사이트 Filming Locations http://www.imdb.com/[...] IMDb 2008-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